국내 미국30년국채 ETF 비교(액티브, 커버드콜, 엔화노출 등)

미국의 달러 발행과 통화 정책을 총괄하는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2024년 6월 첫 금리 인하를 실행한다는 기대감으로 미국 장기채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리인하와 장기채권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국내외 미국30년국채를 추종하는 ETF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장기채권과 금리

장기채권과 금리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보통 기준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이에 연관되어서 새로 발행하는 채권금리가 하락하게 됩니다. 채권의 금리가 하락하면 이자 수입을 주목적으로 하는 채권의 인기가 떨어져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채권의 성질이 나타나게 됩니다. 바로 이미 발급된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기존에 높은 이자로 발급된 채권들의 기대 수익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년전에 5%의 이자를 주는 채권은 금리인하 이후 발급하는 4% 채권보다 기대 수익률이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차이는 만기(듀레이션)가 긴 채권일 수록 더욱 더 큰 격차를 나타냅니다.

국내 미국30년국채 ETF의 특징

위에서 설명 드린대로 만기가 긴 장기채권일 수록 금리 변화에 따라 더욱 더 큰 변동성을 가지게 됩니다. 일반화된 공식으로 설명하면 만기가 10년 남은 채권은 금리가 1% 상승하면 가격이 10% 하락, 금리가 1% 하락하면 가격이 10% 상승하게 됩니다.

채권 ETF의 듀레이션

일반 채권은 이렇게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채권 ETF는 여러가지 채권이 섞여 있기 때문에 기간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채권ETF 운용사에서는 대신 ‘듀레이션’ 이라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듀레이션은 그 채권 ETF의 평균 만기년도를 말합니다. 채권 ETF는 성격에 따라 유사한 만기년도를 가진 채권을 새로 넣거나 뺴거나 하면서 포트폴리오를 조정합니다. 오늘 알아볼 30년 국채의 경우 상품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대략 17년의 듀레이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 안정성

채권의 종류는 크게 국공채(국채)와 회사채(사채)로 구분됩니다. 회사채의 경우 신용도에 따라 AAA부터 D까지 18개의 등급이 존재합니다. 또한 BB+이하의 채권등급은 투자보다는 투기의 성격으로 일반 투자자들에게 권장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국채의 경우 그 나라를 담보로 하여 발행되기 때문에 신용도를 평가할 수 없으며 미국채의 경우 최고의 신용도를 가진 채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용위험이 거의 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연금계좌로 투자 가능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많은 증권사에서 미국 국채를 직접 구매할 수 있게 서비스 하고 있고 또한 미국장에 상장된 채권 ETF를 사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세법상 채권 ETF에는 매매차익에는 배당소득세(국내) 양도세(해외), 분배금에는 배당소득세를 납부해야합니다. 일반 국내 채권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지만 채권 ETF에는 배당소득세가 생깁니다. 해외채권 ETF에 직투하는 경우에는 매매차익이 연 250만원 초과하는 경우 양도소득세 22%를 납부해야합니다. 하지만 국내 채권 ETF의 경우 연금저축펀드, 개인형퇴직연금 IRP,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 등을 통해 절세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30년 장기채의 경우 대부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어 IRP에서 100% 투자가 가능합니다. 해외에 직투하는 경우보다 절세투자가 가능한 것입니다.

국내 미국30년 국채 액티브 ETF 종류

액티브 ETF는 벤치마크하는 지수의 성과를 이기기 위해 운용사의 개입이 많은 ETF를 말합니다. 벤치마크 지수의 성과를 최대한 따라가는 패시브 ETF보다는 수수료가 약간 높은 편입니다. 또한 (H) 마크의 경우 환헤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H) 마크가 없는 경우 환노출 ETF로 추종 지수의 나라의 환율(예 : 달러)이 성과에 영향을 주며 (H) 마크가 있는 경우 환헤지 ETF로 환율에 대한 변동성을 제거한 ETF입니다.

ETF명칭총보수분배금 주기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0.05%월배당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0.05%월배당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0.05%X
ARIRANG 미국채30년액티브0.15%X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 발행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상장일 : 2024년 3월 12일
  • 밴치마크지수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 총보수율 : 0.05%
  • 월배당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구성종목

  • 달러예금 : 33.25%
  • TLT : 25.11%
  • TMF : 11.88%
  • 나머지는 만기 2048~2054년의 미국채권

TLT는 미국 증시에서 구매할 수 있는 미국 장기채권 ETF입니다. TMF는 TLT의 일일 변동성을 3배 추종하는 ETF입니다.
TMF의 비중을 조절해 벤치마크 지수 성과를 상회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액티브 ETF 특성상 구성종목의 변경이 잦기 때문에 최신 정보가 필요하다면 증권사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발행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상장일 : 2023년 3월 14일
  • 밴치마크지수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 총보수율 : 0.05%(실부담 0.16%)
  • 월배당상품 / 연간분배율 3.51%
  • 실시간 가격보기

환헤지 상품으로 환헤지 여부를 제외하고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와 동일한 ETF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 상품보다 1년 먼저 출시된 상품입니다.

환헤지 상품으로 원화현금을 25%정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발행사 : 신한자산운용
  • 상장일 : 2023년 7월 11일
  • 밴치마크지수 : KAP 미 국채 20Y+ 지수(시장가격)
  • 총보수율 : 0.05%(실부담 0.11%)
  • 분배금 미지급 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SOL은 신한자산운용의 ETF 브랜드명입니다. ACE 상품과 다른 벤치마크지수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연간 수수료는 비슷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분배금은 지급하지 않는 상품입니다.

국내 벤치마크 지수를 활용하는 만큼 다른 국내 ETF 상품을 구성종목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물 레버리지(2배) 상품을 보유하여 벤치마크 지수를 상회하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ARIRANG 미국채30년액티브

  • 발행사 : 한화자산운용
  • 상장일 : 2023년 8월 22일
  • 밴치마크지수 :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 총보수율 : 0.15%(실부담 0.23%)
  • 분배금 미지급 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ARIRANG은 한화자산운용의 ETF 브랜드입니다. 환노출 상품이며 분배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는 상품은 이것을 보통 ETF에 재투자하기 때문에 보통 분배금 지급 상품보다 현금유동성은 떨어지지만 성과는 더 높은 편입니다.

원화현금과 TLT, TMF를 주로 담고 있습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와 비슷한 구성입니다. 최신 구성종목은 한화자산운용ETF 페이지에서 해외채권ETF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30년국채 커버드콜 ETF

채권상품의 낮은 변동성은 상방수익이 제한될때 큰 성과를 보여주는 커버드콜 옵션 전략과 궁합이 맞는 모습을 보여줍니다.또한 고배당 상품의 유행으로 추가적인 프리미엄 수익을 배당으로 제공하는 커버드콜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런 수요를 바탕으로 출시된 미국30년국채 추종 커버드콜 국내ETF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ETF명칭총보수분배금 주기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0.39%월배당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0.39%월배당
KBSTA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0.39%월배당
KODEX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 H)0.39%월배당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

  • 발행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 2024년 2월 27일
  • 밴치마크지수 : KEDI US Treasury 30Y Weekly Covered Call 30 Index
  • 총보수율 : 0.39%(실부담 0.52%)
  • 월배당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이 상품은 포트폴리오의 30% 비중에 대해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합니다. 또한 외화자산에 대해 80%이상의 비율로 환헤지 전략을 사용합니다. 아직 상장된지 한달정도 밖에 되지 않아 월분배금에 대한 정보는 없는 상태입니다.

미국에 상장된 장기채권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 발행사 : 신한자산운용
  • 상장일 : 2023년 12월 27일
  • 밴치마크지수 : KEDI US Treasury 20Y+ 2% OTM BuyWrite Index
  • 총보수율 : 0.25%(실부담 0.27%)
  • 월배당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합성 ETF는 실제 해당 자산을 담는 것이 아닌 스왑 상품을 통해 운영하는 ETF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1월 101원 2월 102원으로 올해 총 203원의 배당을 한 상태입니다. 연으로 환산 시 12.18%의 분배율을 보여줍니다.

기초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은 위에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기초지수의 종목을 보유한것은 아니고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스왑 상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KBSTA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 발행사 : KB자산운용
  • 상장일 : 2023년 12월 14일
  • 밴치마크지수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TLT) 2% OTM Covered Call In
  • 총보수율 : 0.25%(실부담 0.29%)
  • 월배당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이 상품은 블룸버그에서 발표하는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TLT) 2% OTM Covered Call In 지수를 벤치마크하는 한국형 TLTW 상품입니다. 성과나 배당금은 유사한 상품과 비슷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미국에 상장된 장기채권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분배금은 1월 97원 2월 81원을 지급하였습니다.

KODEX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 H)

  • 발행사 :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 2024년 4월 30일
  • 벤치마크지수 : Bloomberg U.S.Treasury 20+ Year(TLT)+ 12% Premium Covered Call index(TR)
  • 총보수율 : 0.25%
  • 월배당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삼성자산운용에서 2024년 4월 30일 출시한 ETF 상품입니다. 최근 커버드콜 ETF의 월별로 지급되는 고배당에 매력을 느끼는 투자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삼성자산운용에서도 커버드콜 상품을 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ETF 명칭에서 나타나듯이 연 배당률 12%를 목표로 하여 상품을 운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ETF

미국채 엔화노출 상품은 최근 엔화가치 상승에 대한 성과와 미국 장기채 두 전략을 혼합한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엔저 현상으로 많은 국내 투자자들이 일본 증시를 통해 미국 증시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에 따라 몇몇 국내 자산 운용사에서는 엔화에 노출된 미국장기채 상품을 발행 하였습니다.

ETF명칭총보수분배금 주기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0.15%월배당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0.15%월배당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 발행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상장일 : 2024년 3월 12일
  • 밴치마크지수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 총보수율 : 0.15%
  • 월배당상품
  • 실시간 가격보기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상품으로 2024년 5월 3일 처음으로는 32원(0.35%)의 분배금을 지급하였습니다,

엔화 예금과 TLT, TMF 등 미국채권 ETF 그리고 52~55년을 만기로 하는 미국 국채로 구성되어있는 상품입니다.

KBSTAR 미국채30년엔화노출(합성 H)

  • 발행사 : KB자산운용
  • 상장일 : 2023년 12월 27일
  • 밴치마크지수 : KIS 미국채 30년 엔화노출 지수(USD/JPY 헤지)
  • 총보수율 : 0.15%(실부담 0.16%)
  • 월 배당 지급
  • 실시간 가격보기

구성종목으로는 원화 예금과 스왑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배금은 2024년 5월부터 월배당을 실시하였고 5월 3일 첫 배당금으로는 21원을 지급하였습니다.

※ 관련 포스팅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