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예금, 적금 목돈 만들기

Published on: 2024-08-31

대표적인 금융 상품이면서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예금, 적금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 올바른 예금 적금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금과 적금

예금은 여유자금을 보관하면서 이자를 받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금에는 보통 예금과 정기 예금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통 예금은 자유입출금 예금이라고도 하며, 이자가 낮은 대신 원할 때마다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상품입니다.

반면에 정기 예금은 일정기간 동안 은행에 돈을 맡겨 두고, 그 기간이 끝나면 원금과 이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또한 적금은 보통 정기 적금을 말하며 일정 금액을 매월 저축하면서 목돈을 마련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여기서 정기 예금과 정기 적금에 따른 이자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단리와 복리 구분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 입니다. 이자가 매 기간마다 원금에만 부과됩니다.

복리는 이자가 원금 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복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빠르게 이자가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더 큰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정기 예금, 정기 적금 실제 이자

4%의 정기 예금 상품과 정기 적금 상품을 실제 이자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두 경우 모두 1년 동안 투자하며 원금 600만원을 넣은 경우입니다.

정기 예금

  • 예치금액 : 600만원
  • 예치기간 : 12개월
  • 예금금리 : 4%

정기 예금 방식으로 한번에 600만원을 은행에 예치하고 단리로 계산해 보면 세후 총 6,203,040원이 됩니다. 세금은 일반적인 이자소득세률 15.4%를 적용하였습니다.

  • 단리 : 세전 240,000원, 세후 203,040원
  • 복리 : 세전 244,449원, 세후 206,804원

세전이자는 240,000원으로 이자소득세를 제외하면 203,040원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월복리로 계산한 경우에는 같은 조건으로 세전이자는 244,449원을 얻을 수 있으며 세금을 제외하면 206,804원이 수익이 계산됩니다.

정기 적금

  • 매월입금 : 50만원
  • 적금기간 : 12개월
  • 적금금리 : 4%

정기 적금은 매월 50만 원씩 입금한 경우를 생각해서 계산하였습니다.

  • 단리 : 세전 130,000원, 109,980원
  • 복리 : 세전 131,602원, 111,335원

세후이자로 보면 단리 상품의 경우 109,980원, 복리 상품의 경우 111,335원을 이자수익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자율이 같더라도 예금과 적금 상품은 거의 2배 정도의 실제 이자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예금 금리, 적금 금리 차이

정기 예금 4%를 정기 적금으로 따라잡으려면 금리가 얼마나 나와야 할까요.

월복리 상품으로 계산해보면 대략 7.35%인 적금 상품이 정기 예금 4%와 비슷한 성과를 보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금리와 예치금액에 따른 예금, 적금 이자 계산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의 신한은행 이자계산기를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예금 적금 활용 방법

이처럼 정기 예금이 적금에 비해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금은 한번에 큰 목돈을 넣어야 하는 부담이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처음 넣는 돈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예금이 적금보다 성과가 좋은 것은 당연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정기 예금 상품보다는 적금 상품이 이자율이 조금은 더 높긴하지만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메꿀만큼 큰 금리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적금으로 시작

정기 예금의 경우 처음부터 큰 돈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사회 초년생처럼 지금 막 돈을 모으기 시작한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금은 매월 작은 금액부터 모아 갈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습관을 관리하면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기 시 정기예금

적금 만기가 되어 목돈이 생긴다면 정기 예금에 예치 시키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또 돈을 모을때는 적금을 활용해 줍니다.

이처럼 작은 돈을 모을때는 적금을, 당분간 쓰지 않은 목돈은 정기 예금이 넣어서 돈관리를 한다면 자산을 모으는데 조금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