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수주잔량이 15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K-조선’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간 2배 레버리지로 움직이는 SOL 조선TOP3플러스레버리지 ETF(티커 0080Y0)가 7월 15일 상장됐습니다. TOP3 조선사 중심 포트폴리오에 밸류체인 종목 10개를 더해 변동성을 키운 상품인데요. 10,000원대 소액으로 조선 슈퍼사이클을 두 배 속도로 담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핵심 지표부터 리스크, 투자 팁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조선TOP3플러스레버리지 소개
구분 | 내용 | 코멘트 |
---|---|---|
티커 | 0080Y0 | 국내 첫 ‘조선 2X’ ETF |
상장일 | 2025-07-15 | 신규 상장 |
기초지수 | FnGuide 조선TOP3플러스(PR) | TOP3 + 밸류체인 10종 |
레버리지 | 일간 +200 % | 장기보유 = 변동성 주의 |
총보수 | 0.50 % | 동종 레버리지 ETF 평균 수준 |
순자산 | 514 억원 | 상장 첫날 AUM |
SOL 조선TOP3플러스레버리지 ETF란?
- 목표: 기초지수(조선TOP3플러스)의 일간 변동률 × 2를 추종해 초과 수익을 노림.
- 구성: 삼성중공업·한화오션·HD한국조선해양 등 빅3가 중심이며, 선박 엔진·소재·기자재 기업 10곳을 추가해 총 15개 종목으로 분산
- 설정단위: 1좌 = 10,000 원, 100,000좌 단위로 현금 설정.
- 분배금: 연 1회(회계기간 종료일) 지급 — 레버리지 특성상 배당보다는 자본차익 중심.
운용 전략 & 기초지수
- TOP3 집중도 : 매출 상위 3개 조선사가 지수 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대형 수주 뉴스에 민감.
- 밸류체인 10종목 : 엔진·기자재·특수강 등 후방산업 기업을 포함해 수주→건조→부품 전 과정을 커버.
- 레버리지 구현 방식 : KOSPI200 선물·스왑을 활용해 일간 리밸런싱. ‘복리효과’로 단기 급등 시 수익 극대화, 반대로 횡보·급락 시 손실 확대.
포트폴리오 구성
순위 | 종목명 | 비중(%) |
---|---|---|
1 | 삼성중공업 | 42.15 |
2 | 한화오션 | 39.74 |
3 | HD한국조선해양 | 39.44 |
4 | HD현대미포 | 19.92 |
5 | HD현대중공업 | 19.19 |
6 | HD현대마린솔루션 | 10.30 |
7 | 한화엔진 | 8.92 |
8 | HD현대마린엔진 | 6.58 |
9 | 한국카본 | 4.74 |
10 | 성광벤드 | 2.75 |
레버리지 ETF의 특성과 주요 리스크
- 일간 추종: 목표가 ‘누적 2배’가 아닌 ‘매일 2배’. 변동성이 큰 섹터일수록 장기 추적 오차 확대.
- 복리·변동성 손실: 지수가 상하로 넓게 등락하면 ‘계단식 손실’ 가능.
- 괴리율 관리: 상장 초기엔 유동성 부족이 괴리율을 키울 수 있어 iNAV 확인 필수.
- 세금 : 레버리지의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되어 15.4%가 과세됩니다(보유기간과세)
투자 성향 체크
질문 | YES | NO |
---|---|---|
단기(1주-1개월) 트레이딩 경험이 있다 | ✅ | |
조선업 업황 뉴스·수주 데이터 자주 확인한다 | ✅ | |
변동성 2배 손실 가능성 감수할 수 있다 | ✅ | |
장기(6개월+) ‘묻어두기’ 투자 선호 | ❌ |
결론
조선업 슈퍼사이클에 레버리지라는 가속 페달을 달아줄 신상품입니다. 다만 ‘일간 2배’ 특성상 단기 방향성 매매에 적합하며, 장기보유 시 변동성 손실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TOP3 빅배팅 + 밸류체인 분산 구조를 이해하고, 분할매수·손절 기준을 명확히 세운다면 테마 탄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자주하는 질문 FAQ
장기보유하면 2배 수익이 보장되나요?
아닙니다. 일간 변동률을 2배로 추종하므로 지수가 횡보·박스권이면 손실될 수도 있습니다.
괴리율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증권사 MTS에서 ‘iNAV’ 항목과 실시간 시가를 비교해 ±1 % 이내인지 확인하면 됩니다.
배당은 얼마나 주나요?
연 1회 지급 예정이지만 레버리지 특성상 배당보다는 가격 변동 수익이 핵심입니다.
비슷한 1배 ETF와 무엇이 다른가요?
1배 ETF는 지수 움직임과 동일하게 따라가 장기 추적 오차가 작고, 레버리지(2배)는 단기 변동성 확대가 목적입니다.
투자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 및 위험요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