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큐텐, 위메프, 티몬 정산 지연 사태 요약 정리

Published on: 2024-07-27

2024년 7월 드러난 티몬, 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 일명 티메프 사태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티몬, 위메프 사태 요약

티몬 위메프 사태는 국내 중소 온라인 쇼핑몰인 티몬과 위메프가 입점한 판매자들에게 대금 정산을 지연하면서 촉발된 사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일로 티몬과 위메프에 입점한 많은 셀러들이 대금을 지급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 떄문에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또한 피해를 보고 있는데요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티몬과 위메프의 오랜기간 누적된 적자 문제, 모회사 큐텐(Qoo10)의 물류담당 자회사인 큐익스프레스의 나스닥 상장만을 생각한 부실 경영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엃켜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티몬 위메프에 이번 사태가 일어날 수 밖에 없던 이유를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큐텐과 큐익스프레스

티몬과 위메프의 모회사는 싱가포르의 기업인 큐텐10(Qoo10)입니다.

이 회사는 G마켓의 창업자인 구영배 사장이 G마켓을 매각한 후 동종업체 종사금지 조항을 피해 싱가폴에서 창업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온라인 쇼핑몰)입니다

큐텐은 물류자회사인 큐텐익스프레스를 설립하고 나스닥 상장을 준비합니다. 큐익스프레스는 2012년 설립되었으며 코로나19이후 온라인 물동량이 급격히 불어났던 2021년 하반기 나스닥 상장을 시작합니다.

10년 동종업체 종사금지가 끝난 2022년부터 큐텐은 공격적인 M&A를 통해 기업가치를 부풀립니다.

바로 국내의 중소형 쇼핑몰들을 대거 인수하기 시작한 것인데요 큐텐은 국내의 자본잠식으로 헐값에 나와있는 쇼핑몰들을 인수합니다. 큐텐은 2022년 9월 티몬을 인수하고 2023년 3월에는 인터파크 쇼핑을 4월에는 위메프를 총 6000억을 들여 인수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현금을 통해 구입하는 것이 아닌 큐텐과 큐익스프레스의 주식 교환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서 8%의 점유율을 얻게 됩니다.(위메프 4%, 티몬 3%, 인터파크 쇼핑 1%)

큐익스프레스 나스닥 상장 추진

큐익스프레스의 주요 거래처인 티몬, 위메프로 계속해서 물류와 매출을 늘려 나스닥에 상장를 도전합니다.

당시 큐텐은 10억 달러의 몸값으로 24년 5월 상장을 목표로 진행했지만 상장에 실패하였습니다. 그 동안 티몬, 위메프 등 쇼핑몰의 재무상태는 더욱 더 악화됩니다.

티몬 위메프 주요 재무 지표 2021 ~ 2023
출처 : 국민일보

그러면서 지난 6월부터는 위메프, 티몬의 현금부족으로 입점 업체들의 대금 지급 지연이 발생합니다.

그러자 티몬에서는 한달 뒤 발송하는 선결제 상품권을 8~10% 할인판매하고 이돈으로 대금 지급을 돌려막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한계에 도달한 후 대금 정산을 못 받은 업체들이 물건 배송을 안하거나 여행 상품을 취소 하고 있습니다.

상품권 업체에서는 상황을 파악하고 티몬 판매를 중단하자 티몬, 위메프의 현금 흐름이 완전 막혀버립니다.

지난주 구영배 사장이 입국해서 상품권 사장들을 만나 상품권을 풀어달라고 사정하였지만 큰 효과가 없었으며 상품권 판매 중단으로 티메프 현금 흐름이 막히게되었으며 셀러들과 쿠폰업체의 미정산금만 수 천억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티몬, 위메프 기업회생 신청

7월 30일 큐텐의 구영배 대표는 티몬과 위메프의 기업 회생 신청을 발표하였습니다. 하루 전 만에 해도 사재를 털어서라도 사태를 해결한다고 했지만, 기업 회생 신청 발표로 언론보도용 발언인 것이 드러났습니다.

기업 회생 신청이란 현재 회사의 자금 부족 등으로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고는 있지만 당국에 이 기업이 살릴만한 가치가 있으니 판단해 달라는 것인데요.

정부는 현재 티몬과 위메프의 미정산 금액을 약 21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올해 5월까지 정산되지 않은 금액으로 본격적인 상품권 판매를 한 6월 이후의 정산액을 합쳐서 추산한다면 1조 원이 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티몬 위메프 미정산 금액

티몬과 위메프의 미정산 사태로 인해 총 4만8124개 업체가 1조3000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약 981개의 업체는 1억원 이상의 미정산 피해를 겪었으며, 이들의 피해액은 전체 피해액의 88.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피해 업종은 디지털·가전(3708억원), 상품권(3228억원), 식품(1275억원), 생활·문화(1129억원) 등이며, 지역별로는 서울(8431억원)과 인천·경기(2752억원)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피해 업체 지원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신용보증기금의 자금 지원 금리를 인하하고, 총 1조6000억원의 유동성 공급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또한, 대규모유통업법 및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을 추진해 업계 전반의 제도 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