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며 반도체 산업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GPU와 HBM(고대역폭 메모리) 등 AI에 최적화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기업 주가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데요. 국내에도 이 흐름을 반영한 AI 반도체 테마 ETF 2종이 있습니다. 바로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와 TIGER AI반도체핵심공정 ETF입니다.
AI반도체 ETF 특징
- 생성형 AI는 기존보다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GPU 기반의 고성능 반도체가 필수입니다.
- 특히 HBM(고대역폭 메모리)는 AI 반도체에 있어 핵심 메모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이 ETF들은 HBM 생산과정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하는 국내 중소형 반도체 장비 업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대형 반도체 기업보다 반도체 주문 사이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비 기업이 ETF 구성에 포함되어 있어, 선도적인 투자 전략이 가능합니다.
반도체 밸류체인 구조
단계 | 설명 | 예시 |
---|---|---|
1단계 | 반도체 설계 (Fabless) | 엔비디아, 퀄컴 |
2단계 | 반도체 생산 (Foundry) | TSMC, 삼성전자 |
3단계 | 후공정(OSAT: 조립·검사) |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
💡 위 ETF들은 주로 3단계에 속한 국내 장비·소재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
항목 | 2025-06-27 기준 |
---|---|
순자산(AUM) | 1,315억 원 |
총보수 / TER | 0.39% / 0.44% |
구성 종목 수 | 18개 (기존 21개 → 감소) |
Top 5 비중 | 76.23% |
6개월 수익률 | +20.80% |
최근 배당 | 101원 (2025.04.29) / 연배당률 0.99% |
AI반도체핵심장비 지수는 AI반도체와 반도체 장비산업의 구조에 따라 선정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관련도가 높은 종목을 필터링하고 키워드 스코어링 등을 통해 시가총액을 반영한 가중 방식으로 구성한 지수입니다.
📌 상위 10개 구성 종목
종목명 | 비중 (%) |
---|---|
한미반도체 | 21.41 |
이수페타시스 | 21.10 |
리노공업 | 18.69 |
파크시스템스 | 7.73 |
HPSP | 7.30 |
이오테크닉스 | 5.17 |
ISC | 5.14 |
주성엔지니어링 | 2.99 |
하나마이크론 | 2.35 |
테크윙 | 2.33 |
💬 PCB 업체 이수페타시스의 비중이 급증하며 HBM 기반 반도체 패키징 관련 투자 노출이 강화되었습니다. 상위 10종목의 비중이 94%에 달해 소수 기업에 집중된 ETF로 변모했습니다.
TIGER AI반도체핵심공정 ETF (미래에셋자산운용)
항목 | 2025-06-27 기준 |
---|---|
순자산(AUM) | 873억 원 |
총보수 / TER | 0.45% / 0.52% |
구성 종목 수 | 15개 (기존 20개 → 감소) |
Top 5 비중 | 82.62% |
6개월 수익률 | +15.54% |
최근 배당 | 115원 (2025.04.29) / 연배당률 1.22% |
AI반도체핵심공정 지수는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의 상장기업 중 AI 프로세스칩과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구조에 따라 선정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자연어처리 키워드 필터링 기술로 종목을 구성합니다.
📌 상위 10개 구성 종목
종목명 | 비중 (%) |
---|---|
한미반도체 | 30.73 |
리노공업 | 20.64 |
HPSP | 14.00 |
이오테크닉스 | 10.67 |
주성엔지니어링 | 6.58 |
파크시스템스 | 4.02 |
ISC | 2.71 |
테크윙 | 2.59 |
필옵틱스 | 1.84 |
에스앤에스텍 | 1.75 |
💬 상위 2개 종목(한미반도체 + 리노공업)이 전체 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HBM 본딩·검사 장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마 강도는 가장 강력합니다.
수익률 & 유동성 비교
항목 | KODEX | TIGER |
---|---|---|
YTD | +20.53% | +15.54% |
1개월 수익률 | +21.26% | +20.82% |
1년 수익률 | -25.04% | -29.55% |
평균 거래량 (60일) | 99만 주 | 95만 주 |
괴리율 | +0.03% | -0.05% |
📌 두 ETF 모두 단기 탄력은 매우 뛰어나지만, 1년 누적 수익률은 마이너스로 돌아선 상태입니다. 반도체 사이클 하락 위험도 병행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시 체크포인트 ✅
- 압축 ETF 구조
→ 상위 종목이 전체 자산의 90% 이상 차지. 사실상 소수 기업 집중 ETF입니다. - 단기 상승 이후 피로감
→ 최근 한 달 급등 후, 상승 모멘텀 둔화 가능성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배당 매력
→ ISA, 연금계좌 편입 시, 연 1% 내외의 배당 수익 + 세제혜택을 함께 노릴 수 있습니다. - HBM 트렌드 민감도
→ 두 ETF 모두 HBM 관련 장비/공정 업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HBM 채택 속도에 민감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두 ETF를 모두 담아야 할까요?
최근 종목 중복도가 높아진 만큼, 하나만 선택 후 개별 종목으로 보완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ETF 가격이 낮은데 괜찮나요?
1만 원대 초반은 ETF 기준가에 따른 것이며 저평가와 무관합니다.
리밸런싱은 언제 되나요?
분기마다 정기 리밸런싱을 진행하며, 종목 수와 비중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BM 수요가 줄어들면 어떻게 되나요?
장비주는 반도체 사이클에 선제적으로 반응합니다. 실적 발표 시즌마다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