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EB 중국 인터넷 산업 2배 레버리지 ETF

Published on: 2025-01-27

저번 KWEB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같은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CWEB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또한 KWEB과 CWEB를 비교하고 두 종목은 어떤 투자 전략이 적합한지 알아보겠습니다.

CWEB 개요

  • 운용사: Direxion
  • 출시일: 2016년 11월 2일
  • 추종 지수: CSI Overseas China Internet Index
  • 레버리지: 2배
  • 자산 규모: 약 3억 달러
  • 총보수(수수료): 1.28%
  • 배당 수익률: 약 4.25% (분기별 지급)

CWEB는 일일 기준 2배 레버리지를 적용해 기초 지수(=KWEB와 유사 지수) 대비 2배의 수익률(또는 손실률)을 목표로 합니다. 높은 변동성에 노출되는 만큼, 장기 보유 시 지수가 등락을 반복할 경우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며, 수수료 부담도 일반 ETF 대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CWEB 최근 1년 주가

보유 포트폴리오

No.Name% Weight
1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KWEB)53.52%
2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SWAP35.79%
3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SWAP30.38%
4DREYFUS GOVT CASH MAN INS30.10%
5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SWAP29.26%
6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SWAP26.43%
7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SWAP24.62%
8GOLDMAN FINL SQ TRSRY INST 50613.65%
9DREYFUS TRSRY SECURITIES CASH MGMT9.37%
  • 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KWEB) : CWEB이 가장 많이 투자한 자산으로, 중국 인터넷 기업에 집중된 KWEB ETF가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 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SWAP : 이 자산은 KWEB ETF와 연결된 스왑 계약(Swap)입니다. 스왑 계약은 ETF가 레버리지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하며, 이로 인해 ETF는 목표 수익률을 두 배로 추구합니다.
  • DREYFUS GOVT CASH MANAGEMENT : 안정적인 현금 관리와 유동성을 위해 미국 정부 채권에 투자한 펀드입니다.
  • GOLDMAN FINANCIAL SQUARE TREASURY INSTITUTIONAL FUND : 골드만삭스가 운용하는 단기 국채 펀드로, 유동성과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 DREYFUS TREASURY SECURITIES CASH MANAGEMENT : 안정적인 유동성 관리를 위한 또 다른 미국 국채 기반 현금 관리 펀드입니다.

배당 정보

요약 정보

  • 배당 수익률 (Dividend Yield): 4.25%
  • 연간 배당금 (Annual Dividend): $1.47
  • 최근 배당 기준일 (Ex-Dividend Date): 2024년 12월 23일
  • 배당 지급 빈도 (Payout Frequency): 분기별 (Quarterly)
  • 배당 지급률 (Payout Ratio): 79.20%
  • 배당 성장률 (Dividend Growth): 67.05%

배당금은 매년 4번 지급되며, 최근 몇 년간 배당금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배당 내역 (2023년 이후)

Ex-Dividend DateCash Amount
2024-12-23$1.084
2024-09-24$0.086
2024-06-25$0.157
2024-03-19$0.138
2023-12-21$0.469
2023-09-19$0.175
2023-06-21$0.171
2023-03-21$0.062

위의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최근 몇 년 동안 배당금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투자 전략

단기 트레이딩 용도

  • 2배 레버리지 구조로 인해 기초 지수가 하루에 +5% 오른다면 +10%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5% 내리면 -10% 손실을 본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일일 재조정(리밸런싱)이 이루어지므로, 장기 보유 시 기초 지수의 실제 상승률보다 수익률이 낮아지는 ‘복리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높은 변동성

  • 2021년 말에서 2022년 초까지 중국 인터넷 규제 강화로 인해 KWEB가 급락했을 때, CWEB는 무려 95% 이상 떨어졌다는 예시도 있습니다.
  • 시장 전망이 극적으로 변동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손절 라인을 미리 정해두는 등 위험 관리가 필수입니다.

비교적 높은 배당 수익률

  • 분기 배당금을 지급하고, 수익률이 좋을 때 배당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잡히는 경향이 있습니다.
  • 그러나 이는 레버리지 구조에서 파생된 결과이므로, 진정한 의미의 ‘안정적인 배당’과는 다릅니다.

KWEB vs CWEB 비교

구분KWEBCWEB
추종 지수CSI Overseas China Internet Index
(1배)
CSI Overseas China Internet Index
(2배)
보수율0.69%1.28%
레버리지없음2배
자산 규모(약)53억 달러3억 달러
배당 수익률(약)3.36% (반기)4.25% (분기)
투자 기간중장기 투자 적합단기 트레이딩 적합
변동성/위험상대적으로 낮음
(중국 리스크는 존재)
매우 높음
(하루 변동폭이 2배)

투자 기간

  • KWEB는 중장기 보유로 중국 인터넷 성장성에 베팅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CWEB는 레버리지를 활용한 단기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수수료 및 배당

  • CWEB의 보수율이 KWEB의 두 배가량 됩니다(1.28% vs 0.69%).
  • KWEB는 연 1회 배당, CWEB는 분기별 배당이나, 레버리지 구조로 인해 배당 자체가 투자의 핵심 포인트는 아닙니다.

리스크 선호도

  • KWEB는 장기적으로 중국 빅테크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지만, CWEB는 일일 2배 변동으로 급락 시 손실이 매우 클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투자 전략

KWEB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중국 인터넷 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믿고, 3~5년 이상의 투자 기간을 고려하는 투자자
  • 레버리지 없이 안정적으로(상대적)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은 분
  • 중국 정책 리스크는 감수하더라도, 단기간에 시세 차익보다는 기본 펀더멘털 상승을 기대하는 분

CWEB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고위험·고수익 전략을 선호하는 단기 트레이더
  • 하루이틀, 혹은 1~2주 정도로 시장 타이밍을 맞춰 급등 시 최대 이익을 노리고자 하는 분
  • 손절 라인 설정, 장중 모니터링 등 트레이딩 규칙을 엄격히 지킬 수 있는 분

공통적인 주의사항

  • 분산 투자: KWEB나 CWEB 모두 중국 인터넷 업종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다른 자산군이나 지역분야와 섞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적 모니터링: 중국 정책, 미중 갈등, 환율, 금리 인상 등 글로벌 이슈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니 꾸준히 뉴스를 체크하세요.
  • 환율 리스크: 달러와 위안화, 홍콩 달러 간의 변동성이 ETF 수익률에도 간접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