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시작할 때 많은 분들이 ETF와 ETN의 차이점을 헷갈려하실텐데요. 이 두 상품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구조와 리스크, 운용 방식에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와 ETN의 개념, 공통점, 차이점, 세금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ETF(상장지수펀드)란?
ETF(Exchange Traded Fund)는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추적하도록 설계된 상장형 펀드입니다.
- 인덱스펀드처럼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
-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 가능
- 편의성, 투명성, 환급성이 높은 상품
ETF는 인덱스펀드의 분산 효과와 주식 매매의 편리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초보자에게도 적합합니다.
ETN(상장지수채권)란?
ETN(Exchange Traded Note)은 지수를 추종하는 구조는 비슷하지만, 증권사의 신용을 기반으로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입니다.
- 펀드가 아닌 채권 성격
- 증권사가 직접 발행
- 신용위험 존재
즉, ETF가 ‘자산’을 소유하는 펀드라면, ETN은 ‘증권사의 약속’에 의존하는 상품입니다.
ETF와 ETN의 공통점
두 상품 모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 거래소 상장 → 증권사 앱으로 쉽게 매매
- ✅ 실시간 구성종목, 가격 공개 → 높은 투명성
- ✅ 매도 즉시 현금화 가능 → 우수한 환급성
- ✅ 5~10종목 이상 분산투자 → 변동성 완화
ETF와 ETN의 차이점
구분 | ETF | ETN |
---|---|---|
운용사(발행사) | 자산운용사 | 증권사 |
상품분류 | 상장지수펀드 | 파생결합증권 |
발행방법 | 공모 | 공모 |
구성 종목 수 | 10개 이상 | 5개 이상 |
만기 여부 | 없음 | 있음 |
상환 위험 | 없음 | 있음(발행사 신용 위험) |
🔎 주요 차이 정리
- 발행 주체 : ETF는 자산운용사, ETN은 증권사가 발행합니다.
- 상품 성격 : ETF는 실물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ETN은 약정 기반 증권입니다.
- 만기 여부 : ETF는 만기가 없고, ETN은 만기가 존재합니다.
- 신용 위험 : ETF는 자산 기반이라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ETN은 발행사 부도 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ETF와 ETN 세금 비교
ETF와 ETN은 세금 체계도 거의 유사합니다.
구분 | 증권거래세 | 배당소득세(분배금) | 배당소득세(매매차익) |
---|---|---|---|
국내주식형 | 면제(0%) | 15.4% | 없음(0%) |
해외주식형/채권/파생상품/원자재형 | 면제(0%) | 15.4% | 15.4% |
✅ 세금 핵심 요약
- 증권거래세 : ETF·ETN 모두 면제
- 배당소득세 : 분배금은 15.4% 과세
- 매매차익 과세 여부
- 국내주식형 ETF·ETN : 과세 없음
- 해외주식형/채권/파생형/원자재형 ETF·ETN : 매매차익 15.4% 과세
마무리 정리
ETF와 ETN은 겉으로는 비슷하지만, 발행 주체, 구성 방식, 만기 유무, 위험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초보 투자자라면 안정성이 높은 ETF를 먼저 접하고, 상품 구조를 이해한 후 ETN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ETF vs ETN FAQ
ETF와 ETN 중 어떤 상품이 더 안전한가요?
ETF는 기초자산(주식, 채권 등)을 실제로 보유하고 있어, 운용사가 파산하더라도 자산을 청산해 돌려줄 수 있습니다. 반면 ETN은 발행 증권사의 신용에 의존하는 상품이라, 발행사 파산 시 투자금을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ETF가 ETN보다 더 안전한 투자 상품으로 평가됩니다.
ETF와 ETN은 투자 수익 구조가 어떻게 다른가요?
ETF는 펀드 구조로, 자산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이 발생합니다.
ETN은 발행사가 약속한 지수 수익률을 지급하는 구조로, 직접 자산을 운용하지 않습니다.
즉, ETF는 실물 기반 수익, ETN은 계약 기반 수익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ETN은 왜 다양한 테마 상품이 많은가요?
ETN은 발행 요건이 ETF에 비해 덜 엄격하기 때문에, 5종목 이상의 기초자산만 갖추면 발행이 가능합니다.
이 덕분에 원자재, 레버리지, 변동성지수(VIX) 같은 특수 테마에 대한 ETN 상품이 더 빠르게 출시될 수 있습니다.
ETF와 ETN의 세금 차이는 없나요?
ETF와 ETN 모두 매매 시 증권거래세가 면제됩니다.
다만 세금 부과 방식은 기초자산에 따라 달라지는데, 국내주식형은 매매차익에 세금이 없고,
해외주식형/채권형/원자재형/파생형은 매매차익에도 15.4%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ETF든 ETN이든 기초자산 종류에 따라 세금 부과 방식이 같다는 점을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