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ETN 공통점 차이점 세금 비교 정리

주식 투자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라면 ETF ETN 비슷한 두 상품의 차이에 대해 알기 어려우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ETF와 ETN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ETF(상장지수펀드)

ETF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리는 금융상품입니다. 자산운용사가 특정한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성격의 상품으로 상품의 운용방식은 인덱스펀드와 유사하지만 주식처럼 쉽게 매매가 가능한 상품입니다.

인덱스펀드가 가진 분산효과의 장점과 주식 투자의 장점인 편의성, 투명성, 환급성을 가진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ETN(상장지수채권)

ETN은 Exchange Traded Note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채권으로 번역됩니다. 채권이라는 명칭이 붙는 이유는 자산운용사가 아닌 증권사의 신용을 바탕으로 발행되는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ETN는 펀드 성격의 상품이 아닌 파생결합증권 성격의 상품입니다.

ETF ETN 공통점

두 상품 모두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가 이루어지며 추종하는 기초지수가 있고 구조화된 상품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거래편의성

투자자는 어디서나 증권사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주식처럼 간편하게 사고 팔 수 있습니다.

투명성

ETF(ETN)는 펀드와 달리 구성종목과 거래가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급성

ETF(ETN)는 주식처럼 판매 직후 예수금형태지만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환급성이 너무 좋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장기간 투자가 어려운 단점아닌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분산효과

ETF(ETN)는 보통 5~10종목이상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TF(ETN) 발행을 위한 여러 요건으로 인해 분산효과 및 개별 주식 대비 낮은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ETF ETN 차이점 비교

ETF가 거래소에 상장된 펀드라면 ETN는 상장된 파생결합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상품의 명칭은 비슷하지만 발행 주체, 상품 만기, 구성 종목, 운용 전략 등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분ETFETN
운용사자산운용사증권사
상품분류펀드파생결합증권
발행방법공모공모
구성종목10종목 이상5종목 이상
만기 유무만기 없음만기 있음
상환 위험위험 없음위험 있음

운용사(발행사) 차이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발행하지만 ETN는 증권사에서 발행을 합니다.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공모를 통해 자금을 조달 받고 운용합니다. ETN는 자기자본 5000억 원 이상의 증권사가 자기신용을 바탕으로 발행합니다.

※ ETN 발행사 요건

  • 증권, 장외파생상품 대상 투자매매업 인가
  • 자기자본 5000억 원 이상
  • 투자적격 등급 이상
  • 순자본비율 150% 이상
  • 최근 3년 개별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이 모두 적정

구성종목 차이

ETF는 발행 시 10개 종목이상으로 발행해야하지만 ETN는 5종목이상이면 발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ETF에 비해 다양한 상품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 ETN 기초자산 요건

  • 모집, 공모
  • 발행총액 70억 원이상, 발행증권 10만 증권 이상
  • 발행한도 자기자본 50% 이내
  • 발행만기 1년 이상에서 20년 이하
  • 유동성공급 : 발행사 또는 1사 이상과 계약체결

만기유무

ETF는 만기가 없지만 ETN는 증권사의 신용이 바탕인 채권과 유사한 상품으로 만기가 정해져 있습니다.

신용위험

ETF의 경우 기초자산을 보유하기 때문에 자산운용사가 망하더라도 기초자산을 매각해서 투자자에게 돌려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ETN은 증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하는 상품으로 증권사 파산 시 투자금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ETF ETN 세금 정리

ETF와 ETN은 동일한 세금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증권거래세 면제

ETF(ETN)는 개별 주식과 다르게 매도할 때 마다 발생하는 증권거래세 0.25%가 면제됩니다. 또한 증권거래세에 붙은 농특세 또한 면제입니다.

배당소득세 과세

ETF(ETN)의 배당은 분배금이라고 불리며 개별 주식이나 채권과 마찬가지로 배당소득세 14%(지방세포함시 15.4%)가 원천징수됩니다.

또한 국내주식형 ETF(ETN)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지만 해외주식형 ETF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해 14%(지방세포함시 15.4%)가 원천징수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국내주식형 ETF(ETN) : 국내 주식으로만 구성된 국내상장 ETF(ETN)
  • 해외주식형 ETF(ETN) : 해외 종목이 1개라도 포함된 국내상장 ETF(ETN)

해외주식형 ETF(ETN) 뿐만아니라 이자소득이 가격에 반영된다고 판단되는 채권형 ETF(ETN)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가 과세됩니다.

또한 파생상품이나 원자재로 구성된 ETF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를 징수합니다.

  • 파생상품 ETF(ETN) : 인버스, 레버리지 ETF(ETN)
  • 원자재 ETF(ETN) : 금, 구리, 원유 선물 등으로 구성된 ETF(ETN)
ETF(ETN) 구분증권거래세배당소득세
(분배금)
배당소득세
(매매차익)
국내주식형0%(면제)15.4%0%
해외주식형
국내외채권
원자재
파생상품
0%(면제)15.4%15.4%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