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20% 프리미엄? 괴리율 알고 금투자하자

Last Updated on: 2025-03-30

최근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달러 약세 등으로 금의 가치는 여전히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죠. 하지만 금 투자, 그냥 사기만 하면 될까요? 바로 ‘괴리율’을 모른 채 투자하면, 같은 금이라도 더 비싸게 사거나 싸게 팔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괴리율이란?

괴리율은 “기초 자산(여기서는 금)의 실제 가격”과 “투자 상품(예: 금 ETF, 금 통장, 실물 골드바 등)의 거래 가격” 간의 차이를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 괴리율 공식

괴리율 (%) = (시장 가격 - 기준 가격) / 기준 가격 × 100
  • 시장 가격: 투자 상품이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
  • 기준 가격: 국제 금 시세나 KRX 금 시세 등, 원자재 자체의 공정한 시세

📌 국제 금시세와 국내 금시세 괴리율 계산방법

괴리율 (%) = (국내 금 시세 - 국제 금 시세 환산값) / 국제 금 시세 환산값 × 100

● 계산예시

  • 국제 금 시세: $2,000/온스
  • 환율: 1,300원/USD
  • 국내 금 시세: 90,000원/g

● 국제 금 시세를 g 단위 원화로 환산

  • 1온스 = 31.1035g
  • 국제 금 시세 (원/g)=2,000×1,300/31.1035≈83,560원

● 괴리율 계산

  • 괴리율=(90,000−83,560)/83,560×100≈7.7%

📌 즉, 국내 금 가격이 국제 시세보다 약 7.7% 높게 형성되어 있음 → ‘프리미엄’ 상태

📈 괴리율이 플러스(+)인 경우: 프리미엄 상태

  • 투자 상품 가격이 실제 금 시세보다 더 비싸게 거래됨
  • 수요가 높거나, 공급이 부족할 때 자주 발생
  • 예: 골드바 수요 급증 → 유통되는 골드바 품귀 → 시장에서 높은 가격 형성

🟡 투자자 입장: 금을 비싸게 사는 것이므로 주의 필요

📉 괴리율이 마이너스(−)인 경우: 디스카운트 상태

  • 투자 상품 가격이 실제 금 시세보다 더 싸게 거래됨
  • 투자 수요가 급감하거나, 환매 물량이 많을 때
  • ETF의 경우, 운용사의 재정 상황이나 환율 리스크도 영향

🟡 투자자 입장: 금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일 수 있으나, 유동성 위험 등을 따져야 함

📊 실제 괴리율 사례 (2025년 2월)

2025년 2월, 국내 금 투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KRX 금시장 시세가 국제 금 시세보다 20% 이상 비싸게 형성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2014년 KRX 금시장 개설 이래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

📅일자🇰🇷국내 금 시세 (1g)🌐국제 금 시세 (1g)📉괴리율
02-13161,990원135,710원19.4%
02-12158,870원135,070원17.6%
02-11159,410원136,470원16.8%
02-10152,800원134,610원13.5%
02-07145,600원133,300원9.2%
02-06146,100원133,570원9.4%

📰 괴리율이 20% 이상 벌어진 2월 13~14일은 ‘금의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관련기사)

📰 3.30일 현재 기준으로도 약 +10%의 괴리율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ETF에서도 발생한 괴리율

국내 유일의 금 현물 ETF인 ‘ACE KRX금현물’ ETF 역시 같은 기간 동안 괴리율 1~2% 이상을 지속적으로 기록했으며,
이는 해당 ETF가 추종하는 KRX 금시장 자체가 국제 시세보다 비쌌기 때문입니다.

📌 ETF 괴리율이 1%를 넘으면 한국거래소는 매 거래일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실제 2월 4일부터 매일 괴리율 초과 공시가 나왔습니다.

🧭 금 투자 시 괴리율을 고려한 전략

상황전략
괴리율 +10% 이상 (프리미엄)매수 자제, 가격이 조정될 때까지 기다림
괴리율 –5% 이하 (디스카운트)신중한 매수 고려 (단, 이유 분석 필수)
괴리율 안정적 (±1% 이내)장기 보유 목적으로 매수 적기

✍️ 마무리하며…

금 투자는 안정적인 자산이라는 인식 때문에 무조건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괴리율을 고려하지 않은 투자는 생각보다 손해를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앞으로 금 투자를 고민 중이시라면, 가격만 보지 말고 “지금 내가 금을 시세보다 비싸게 사고 있는 건 아닐까?“를 꼭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