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H) 특징 및 분석

Last Updated on: 2025-01-31

최근 한국 증시에 다양한 컨셉의 ETF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미국 30년 만기 국채엔화 환율 변동에 동시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상품이 바로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티커: 472870)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ETF의 운용성과부터 월분배(분배금)와 실제 구성종목(포트폴리오) 정보를 업데이트해보겠습니다.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 개요

image 19
  • 기초지수
    • KIS자산평가가 산출·발표하는 “KIS 미국채 30년 엔화노출 지수(USD/JPY 헤지)(총수익지수)”를 추종합니다.
    • 미국 장기채권(30년)에 투자하는 동시에, 엔화 환율(USD/JPY) 변동에도 노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입니다.
  • 상장일: 2023년 12월 27일
  • 운용사: KB자산운용
  • 총보수: 연 0.15% (운용보수 0.134% 포함)
  • 거래소: 코스피
  • 투자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이 ETF는 ‘합성 H’ 구조로, 장외파생상품(스왑 등)을 통해 목표 지수의 성과를 추종합니다.
스왑 거래 상대방으로는 메리츠증권(AA-), NH투자증권(AA+), 키움증권(AA-), 미래에셋증권(AA)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모두 국내 신용평가사 기준 우수한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운용성과

아래는 ETF와 기초지수(총수익지수)의 최근 수익률(분배금 재투자가정) 비교입니다.

구분최근 1개월최근 3개월최근 6개월최근 1년
ETF*-5.11%-9.93%1.20%-12.64%
기초지수-4.99%-9.53%3.18%-10.09%
기초지수대비-0.12%-0.41%-1.98%-2.55%

설정(2023.12.22) 이후 수익률

  • ETF: -13.28%
  • 기초지수: -10.73%
  • 기초지수 대비: -2.55%
image 20

위 결과를 보면, 기초지수 대비 ETF 수익률이 소폭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합성 ETF는 파생상품 거래 비용 및 보수 등이 반영되어 약간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분배(분배금) 현황

이 ETF의 또 다른 핵심 매력은 정기 분배(월배당) 구조입니다.

  • 분배금 기준일: 매월 말 기준으로 분배금이 확정
  • 실제 지급일은 보통 기준일 이후 약 5~10영업일 정도 소요되며, 분배금은 투자자 계좌에 현금으로 입금됩니다.

최근 분배금

지급기준일분배금(원)총 분배금액
2024-08-30240.25%
2024-09-30240.25%
2024-10-31230.27%
2024-11-29220.25%
2024-12-30220.26%

월단위로 정기적인 현금흐름을 얻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구조이지만, 분배금 발생 시 ETF의 기준가(NAV)는 그만큼 하락한다는 점도 유념해야 합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종목

이 ETF는 합성 ETF이므로, 실제 미국 30년 국채를 직접 대량으로 매수·보유하기보다, 스왑 계약 등을 통해 수익률을 추종합니다. 현재 주요 구성종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No.종목코드종목명비중
1KRD010010001원화예금100.9%
2CASH00000001설정현금액100.0%
3KRYZTRSECQ05스왑(메리츠증권)_241224-0.1%
4KRYZTRSECQ06스왑(미래에셋증권)_20241224-0.3%
5KRYZTRSEAV13스왑(키움증권)_241028-0.5%

현금성 자산(원화예금·설정현금액 등)

  • 설정현금액(CASH00000001): 약 4.2억 원
  • 원화예금(KRD010010001): 약 4.3억 원

스왑 거래 보증금 성격이거나, 기타 유동성 관리용으로 보유되는 현금성 자산입니다.

스왑(파생상품) 보유

  • 스왑(메리츠증권)_241224
  • 스왑(미래에셋증권)_20241224
  • 스왑(키움증권)_241028

이는 지수와의 차이(소위 ‘스왑 가치’)가 변동되면서 ± 평가손익이 발생하는 항목입니다.

기초지수(실질 추종 대상)

  • 해당 ETF가 추종하는 지수는 KIS 미국채 30년 엔화노출 지수(USD/JPY 헤지)(총수익지수)
  • 미국 국채 선별(잔존만기 20년 이상, 월 단위 리밸런싱 등) + 엔화 환산(헤지) 전략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현금(원화) + 스왑 포지션으로 ETF를 운용하여, 미국 30년 국채 수익률 + 엔화 환율 변동 효과를 동일하게 실현하도록 구성한 것입니다.

투자 포인트 및 유의사항

미국 장기 채권 + 엔화 환율 노출

  • 한 번에 미국 장기국채와 엔화 가치 변동을 모두 노려볼 수 있어 분산투자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다만, 금리 상승기에 장기채권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엔화가 약세로 돌아설 경우 환차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분배(월배당) 매력

  • 매월 분배금을 받으며 현금 흐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매력적입니다.
  • 배당이 발생하면 그만큼 ETF 순자산가치(NAV)가 떨어져서, 단순 주가 차트만 봐서는 성과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분배금 포함 총수익(Price + Distribution)을 고려해야 합니다.

합성 ETF 구조적 특징

  • 스왑 계약을 통해 지수를 추종하므로, 거래상대방(증권사)의 신용위험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 파생상품 특성상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이나 괴리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편입 가능

  • 장기 투자 관점에서, 연금계좌에 편입 시 분배금에 대한 과세이연(또는 절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 ETF(472870)는 미국 장기채권 금리 변화와 엔화 환율 변동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부터 동시에 수익 기회를 노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 최근 운용성과를 살펴보면 기초지수 대비 약간의 괴리가 발생하지만, 이는 합성 ETF 구조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 월배당도 주기적으로 발생해, 현금흐름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물론, 장기채권 특유의 금리민감도와 엔화 환율 변동성이라는 이중 리스크가 있다는 점을 꼭 유의해야 합니다. 투자 전 상품구조(합성 ETF의 파생상품 매커니즘)와 시장 전망(금리·환율)을 충분히 살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 본 포스팅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투자 결정에 따른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포스팅에 언급된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 기반하고 있으나,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