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하운드 AI(SOUN)은 음성 인식 기술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최근 눈에 띄는 주가 변동폭을 보이고 있습니다.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과 AI 분야에서의 경쟁력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지금 바로 사운드하운드 AI의 재무상황과 투자 포인트를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SOUN 기업개요

사운드하운드 AI는 음성 인식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초기에는 음성 기반 음악 검색 서비스로 주목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AI 플랫폼 개발과 음성 비서 솔루션 제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설립 이후 여러 차례 투자 유치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면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왔으며, 음성 인터페이스가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대됨에 따라 시장에서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40억 달러를 넘어서는 규모로, 앞으로의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AI 스피커, 차량용 음성 인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향후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기회도 충분히 열려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운드하운드 AI의 주가 역시 시장 전반의 AI 기대감을 반영하며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동향

최근 52주 기준으로 사운드하운드 AI 주가는 무려 381% 이상 상승하며 AI 테마주로서의 위력을 과시했습니다. 특히 베타값이 2.73으로 시장 평균 대비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시장이 불안정할 경우 주가 하락 폭 또한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단기적으로 50일 이동평균은 16.19달러, 200일 이동평균은 7.90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어 현재 주가는 그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RSI(상대강도지수)가 약 34.58 정도이므로 단기적으로 침체 구간에 가까울 수 있으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수 기회로 볼 수도 있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재무 성과
사운드하운드 AI의 최근 재무 지표를 보면 흥미로운 점이 많습니다. 우선 지난 12개월 동안 6,73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는데, 이는 전 분야를 통틀어 AI 솔루션 기업으로서는 점진적인 매출 확대를 이뤄낸 것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이 기간 동안 -1억1,107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아직까지는 적자 상태입니다. 주당순이익(EPS)이 -0.36달러로 나타나고 있어 수익 창출 구간으로 돌아서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성장 기업답게 영업활동현금흐름(OCF)은 -8,963만 달러, 그리고 잉여현금흐름(FCF) 역시 -9,024만 달러로 부정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1억3,561만 달러로 어느 정도 뒷받침이 되고 있으며, 부채가 4,384만 달러 수준에 불과해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심각한 우려가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실제로 현재비율이 2.58, 부채비율이 0.15로 비교적 양호하고, 적어도 단기 유동성 위기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주가수익비율(PE)은 계산이 어려울 정도로 아직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으나, 주가매출액비율(PS)이 49.99로 시장 평균과 비교했을 때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시장이 향후 매출 증가에 대해 큰 기대를 걸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동시에 그만큼 높은 밸류에이션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최근 뉴스
엔비디아 지분 매각
엔비디아가 최근 제출한 13-F 보고서를 통해 사운드하운드와 서브 로보틱스의 지분을 매각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두 기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사운드하운드는 약 28%, 서브 로보틱스는 약 39% 하락하며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안겼습니다. 다만, 사운드하운드는 여전히 AI 기술 혁신에 대한 기대감이 남아있고, 엔비디아와의 기술 협력 관계도 유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는 중국 자율주행 기업 웨라이드와 AI 인프라 기업 네비우스의 신규 지분 보유 사실도 확인되었습니다. 두 기업의 주가는 각각 80%와 6%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엔비디아의 전체 보유 지분 가치는 지난 분기 4억 3,290만 달러에서 3억 450만 달러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and Personalities
사운드하운드 AI(SoundHound AI, Nasdaq: SOUN)가 자사의 차량용 음성 비서 시스템 ‘SoundHound Chat AI Automotive’에 새로운 기능인 ‘Brand Personalities’를 도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기능은 자동차 제조사(OEM)들이 각자의 브랜드 정체성에 맞는 맞춤형 음성 비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업계 최초의 솔루션입니다.
Brand Personalities 주요 특징:
자동차 제조사는 음성 비서의 응답 스타일, 성격, 생동감 등을 자유롭게 설정해 브랜드에 어울리는 개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사전 설계된 여러 캐릭터 중 선택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맞춤형 인격을 창조할 수 있으며, 특정 기간 동안 활용할 수 있는 시즌 캐릭터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 제조사의 다양한 서브 브랜드나 모델 라인업(스포츠카, 가족용 차량, 상용차 등)에 맞춰 각각 다른 음성 비서를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와의 감성적인 유대감을 강화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투자리스크 및 고려사항
가장 눈여겨봐야 할 리스크 중 하나는 높은 공매도 비율입니다. 사운드하운드 AI의 공매도 규모는 약 1억 180만 주로 발행주식의 27%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는 기업에 대한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알트만 Z-스코어가 1.39로, 기준인 3 미만이면 재무적 위험 신호가 있을 수 있다는 지표입니다. 사업 모델 자체는 혁신적일 수 있으나, 현금흐름과 이익 개선이 더디면 기업가치가 크게 후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자본수익률(ROE)이 -68.39%로 상당히 낮고, 투자자본수익률(ROIC) 역시 -25.61%을 기록하며 아직은 이익 창출력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임을 보여줍니다.
게다가 PS 비율이 매우 높게 책정되어 있다는 점은 시장이 회사의 가파른 성장 스토리에 베팅하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실적 호전이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한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베타가 2.73에 달하기 때문에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주가 급락의 위험도 같이 높아집니다.
또한 내부인 보유 비율이 10.93%, 기관 보유 비율이 32.16%로, 일부 주요 주주의 매도세가 형성되면 주가가 단기에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적자폭이 이어진다면 신규 자금 조달 필요성이 증가해 추가적인 주식 발행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맺음말
사운드하운드 AI는 AI 및 음성 인식 시장의 폭발적 성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종목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말 예정된 실적 발표에서는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거나 뛰어넘는 지표가 나온다면 그에 따른 주가 상승 탄력이 다시 기대될 수 있습니다.
다만 높은 밸류에이션과 이에 따른 공매도 비율, 그리고 구체적인 이익 체력이 아직은 미흡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중장기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존 투자자는 적정 손절 라인을 설정하고 지켜보는 전략을 택할 수 있고, 신규 투자자는 분할 매수를 통해 시장 변동성을 줄이면서 접근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